현대미술의 철학적 조명

吳昞南(서울대 미학과 교수)


머리말
1. 현대미술의 배경으로서의 부조리
2. 자유의 이상과 추상적 형식주의
3. 자발성의 이상과 추상적 표현주의
4. 예술 : 자유인가 자발성인가?
맺음말 : 현대미술의 한계와 대안

머리말

현대미술은 한때 인간에게 적절한 위치를 부여해 주었던 가치질서가 붕괴함으로써 비롯된 것이다. 자신의 위치를 앎으로써 인간은 무엇을 해야할지를 알았다. 그러나 신의 죽음과 더불어 그러한 질서는 그 설립자인 신과 더불어 그 토대를 모두 잃게 되었다.

물론 그러한 질서가 여전히 남아 있어서 그럴듯한 은신처와 안전함을 제공해 주고도 있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그러한 질서가 공허한 것이 되었음을 인정하지 않으려고 하는 사람에 있어서만 그러한 것이 되고 있다. 이처럼 현대에 있어서 신의 죽음은 인간의 위치를 바꾸어 놓았으며, 인간으로 하여금 아무런 방향감각도 갖지 못하도록 만들어 놓았다.

그런 속에서 수없이 많은 이즘과 운동들로 점철되어 온 것이 현대미술의 전개이다. 그러나 이처럼 다양하고 복잡하게 자기 변신을 시도하고 있는 현대미술 전개의 여러 지류들을 소급해 올라가 보면 거기에는 커다란 두개의 본류가 있음을 발견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두 본류의 수원지는 현대인의 상황에 기초하고 있는 부조리(absurdity)라는 샘임을 발견할 수가 있다

그렇다면 이 부조리의 기초 혹은 근거는 무엇인가? 말할 필요도 없이 그것은 신의 죽음, 기독교적 인간관의 와해에로 소급될 수 있다. 기독교적 인간관에 있어서 인간은 신의 형상(imago Dei)으로서 이해되었다. 고로 아무런 주저없이 인간은 이 세계속에서 그가 따르고 추구할 이상적 존재로서 신을 가지고 있었다.

신은 그 자신의 형상대로 태어난 인간에게 율법을 줌으로써 이 세계속에서 인간이 살아갈 방도와 의미에 대한요구를 해결해 주었다. 이처럼 인간에게 이상과 만족을 제공해 주던 신이 죽어버린 것이다. 그래서 인간은 하나의 주체로서 세계에 맞서버리게 된 것이다.

그렇다고 인간이 이상에 대한 추구를 포기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비록 신은 몰락해 버렸다지만 그 자리를 메울 새로운 이상에 대한 요구는 보다 완전함을 회구하고 있는 인간으로서는 필연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인간은 이상에로의 지향을 위해 이 세계에 대해 의미를 물었다. 한 때 세계는 이 물음에 대해 답해주는듯 했으나 끝내는 한계를 드러내거나 침묵을 하고마는 결과로 인도되었다. 아카데미즘의 이성과 낭만주의의 무한 자가 그런 것이라고 할 수가 있다.

현대인의 상황에 기초하고 있는 부조리는 바로 여기에 그 근거를 두고 있는 것이다. 즉 인간은 세계에 대하여 의미를 요구하여, 이상을 설정하려 하였지만 세계는 이러한 인간의 요구에 대해 무심했던 것이다. 그렇다고 인간이 자신의 상황의 부조리성을 받아드려, 그것과 더불어 살 수는 없는 노릇이다.

그것은 완전함에 이를 수 없는 불만을 감수하고 살아가야 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인간은 그것에 맞서 싸워, 그것을 극복하려 했다. 결과적으로 자유(freedom)와 자발성(spontaneity) 이라는 새로운 이상이 제시되게 되었다.

현대미술은 부조리로부터 탈피하고자 하는 이같은 두 기획들의 일환인 셈이다. 그래서 현대미술은 한쪽에서는 절대적 자유를 이상화하는 중에 추상적 형식주의(abstract forma- lism)를 낳게 되었고, 다른 한쪽에서는 직접적 자발성을 이상화하는 중에 추상적 표현주의 (abstract expressionism)를 낳기에 이르렀다.

필자는 이 두 예술의 기획의 철학적 기초를 조명해 보고, 그러한 기초위에서 그들 예술이 실제로 어떻게 전개 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할 것이다.

그러나 그들 두 예술이 삼고 있는 이상은 부조리의 극복 흑은 해결을 위해 제시된 것이 아니라, 그것으로부터의 도피를 위해 제시된 것이라는 입장에서 진정한 이상이 아닌 사이비 이상임을 밝히고자 할것이다. 그렇다 할 때, 현대미술은 이상의 추구가 아니라 환상의 창조가 된다.

그러므로 이제쯤 현대미술은 그같은 환상의 미봉에서 깨어날 때가 되었고, 그같은 반성적 움직임들이 일고 있음을 시사하고자 하겠다. 그렇다고 어떤 새로운 이상이 즉시 제시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현대미술이라는 거대한 신화가 한계에 도달 했음을 선언하고 있는 것이라는 점에서 새롭게 등장될 사실주의 정신에 주목해 보는 일이 필요하지 않을까 하고 있다. 사실 본고의 의도는 이것을 기점으로 하여 새로운 미학이 제시될 수 있는 한 가능성을 검토해 보려는 것이었다.

 그러나 어찌되었던 이같은 모든 논의의 출발은 현대인의 상황에 기초하고 부조리로부터 기인하고 있는 것이라는 의미에서 그에 대한 논의부터 출발해 보는 순서를 취할 것이다.